본문 바로가기
인테리어/주거인테리어

인테리어 견적서 검토하는 방법

by 인테리옹 2025. 4. 20.
반응형

 

인테리어 견적서는 여러 업체들에게 같은 질문을 통해야만 비교견적이 가능합니다.

이 포스팅은 소비자가 받은 견적서가 40년 된 구축 아파트(22평)를 철거 후 전면 리모델링하는 기준으로 제공된 견적(총 3,725만 원)의 적절성을 분석해드리위 한 것으로 올바른 견적서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다만, 견적은 현장조건도 고려해야 하는지 현장사진 및 공사내용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어 일반적 기준으로 토대로 견적을 살펴보았습니다.


반응형

소비자의 견적서

 

1.견적 항목별 타당성 검토

(1) 비교적 합리적인 항목

    • 도배 (145만 원), 장판 (120만 원): 실크도배와 2.2T 장판 기준으로 자재(브랜드, 제품별)를 고려할 때 적정 가격대입니다.
    • 싱크대 (270만 원): 일자형 + 인덕션 + 후드 매립 등 기능성을 포함하면 평균적인 수준입니다.
    • 샷시 (800만 원): 창호의 수량, 층수도 고려해야 하나, KCC 24T 로이유리(외부) + 22T 투명유리(내부) 적용 시 평균적 금액입니다.

 

(2) 의심스러운 항목

    • 목공작업 (450만 원): "천정 포함 전체 목공"이라는 모호한 표현으로 작업량을 알 수 없습니다. 세부 내역(재료, 크기, 디자인)이 명시되지 않아 과다 청구 가능성이 있을 수 있으나, 22평 기준으로 평균 또는 적정한 견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화장실 (440만 원): 전체 첨단 시공 + 방수 포함이라면 합리적이지만, 젤다이(40만 원) 등 추가 비용이 중복될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하며, 자재종류에 따라 달라 화장실 1개로 비교했을 때 350만 원 정도가 젠다이포함 평균적 금액으로 높은 편입니다.
    • 전기작업 (90만 원): "단순 전기공사만 포함된 것으로 보여 정확한 범위를 요청해야 할 것 같습니다. 단순하다면 50~60만원 정도 수준으로 보일 뿐입니다.

 


(3) 철거/폐기물 비용 (270만 원)

    • 40년 된 아파트의 주방창고 철거 작업(목공/미장 포함)으로는 적절하나, 폐기물 처리 비용이 시장 평균(평당 5~10만 원) 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.

 


2. 총액 평가 (3,725만 원)

  • 22평 전체 철거 + 리모델링 기준으로는 중간~중상위 가격대입니다.
    • 일반적인 중저가 업체: 2,800~3,500만 원
    • 고급 자재/디자인 적용 시: 4,000만 원 이상
  • 현재 견적은 정확히 판단되어 지지 않으나 평당 약 170만 원으로, 표준 시공보다 10~20% 비쌉니다.
      • 단, 고급 자재(예: KCC 샷시, 실크도배)를 선택했다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.

3. 확인해 봐야 할 사항

세부 내역 요청:

  • "목공작업 450만 원"의 구체적인 범위(예: 선반 수, 도어 유형).
  • "전기작업"에 포함된 콘센트/전기공사 범위 등.

타 업체 비교

  • 동일한 자재/스펙으로 최소 3곳 이상 견적 비교를 권장합니다.

계약서 작성

    • 하자 보수 기간(보통 1~2년)과 불명확한 항목의 가감제를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.

 


4. 결론

    • 견적 자체는 부당하지 않지만, 일부 항목에서 과도한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  • "업체에 맡길 때" 기준으로는 적절하나, 세부 협상을 통해 10~15% 절감할 여지가 있습니다.
    • 철거 비용과 고급 자재 사용 여부를 재확인하고, 계약 전 모든 항목을 문서화하세요.
    • 견적서 외 추가비용은 절대추가되지 않도록 명확한 내용이 불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
✨ Tip: 리모델링은 공사 중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 쉬우므로, 예산의 10~20%를 여유금으로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.

반응형